그대가 알고 싶은 이야기

암은 왜 생길까? 면역 감시 시스템, 염증, 유전자 변이로 풀어보는 암의 시작” 본문

카테고리 없음

암은 왜 생길까? 면역 감시 시스템, 염증, 유전자 변이로 풀어보는 암의 시작”

그알이 2025. 4. 13. 07:05

우리 몸은 생각보다 철저한 감시 시스템을 갖고 있습니다. 매일 수많은 세포들이 자라고 죽으며, 때때로 돌연변이도 생기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개는 문제가 되지 않아요. 왜일까요? 바로 면역 감시 시스템 덕분입니다.

세포의 자멸사(Apoptosis)


1️⃣ 면역 감시 시스템: 세포 사회의 경찰

 

우리 몸의 면역세포들은 단순히 외부 침입자를 막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부에서 이상 징후가 생긴 세포도 감시합니다.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가 바로 자연살해세포(NK cell)T세포입니다.

이들은 돌연변이를 일으킨 세포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조용히, 그리고 빠르게 제거합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이렇게 몸속 '반란 세포'가 자라나기 전에 제거되죠.

 


2️⃣ 암세포의 반격: 면역을 속이다

 

문제는, 어떤 세포들은 면역 감시를 회피하는 전략을 갖고 있다는 겁니다.
대표적인 방식이 바로 PD-L1 단백질을 이용한 위장술입니다.

PD-L1은 T세포의 공격을 막는 방패 같은 단백질인데, 원래는 염증이나 손상 상황에서 몸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전이에요.
하지만 암세포는 이 PD-L1을 ‘남용’해, 자신을 공격하는 T세포를 무력화시킵니다.


3️⃣ 만성 염증: 암의 ‘조용한 조력자’

염증은 몸의 방어 반응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염증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오히려 세포의 DNA에 손상을 주고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암 친화적 환경이 됩니다.

예를 들면:

  • B형 간염 → 간염 → 간경변 → 간암
  • 헬리코박터 감염 → 위염 → 위암

즉, 염증은 암세포가 자라기 좋은 ‘비옥한 토양’이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4️⃣ 유전자 변이: 암의 씨앗

암은 결국 유전자 수준의 변화에서 시작됩니다.
대표적인 암 관련 유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TP53: 손상된 세포를 자살시키는 역할 (종양 억제 유전자)
  • KRAS, MYC: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유전자 (종양 유발 유전자)
  • BRCA1/2: DNA 복구에 관여 (유방암, 난소암 관련)

이런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세포는 더 이상 정상적인 통제를 따르지 않고, 분열을 멈추지 않습니다.


🔁 세 가지가 맞물릴 때, 암은 자란다

암은 단순한 하나의 원인으로 생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아래 세 가지가 맞물릴 때 암은 본격적으로 성장합니다.

  1. 면역 감시 실패 – 이상 세포 제거 실패
  2. 만성 염증 – 유전자 손상, 돌연변이 가속화
  3. 유전자 변이 – 통제받지 않는 세포 증식

흡연 → 만성 염증 + 발암물질 노출 → 유전자 변이 발생
→ 변이 세포가 면역 회피(PD-L1 등) → 폐암으로 진행


✅ 예방을 위한 3가지 키워드

1. 면역력 유지

  • 규칙적인 수면, 운동, 영양 섭취
  • 만성 스트레스 관리

2. 염증 줄이기

  • 금연, 음주 절제
  • 항염증 식단 (과일, 채소, 오메가-3 등)

3. 조기 감지와 유전자 이해

  • 유전체 분석: 암 유전자 돌연변이 조기 발견
  • 암 스크리닝: 가족력 있는 경우 정기 검진 필수

💬 마무리하며

 

암은 단지 유전자의 실수로 어느날 갑자기 찾아오는 게 아닙니다.
몸의 면역 시스템, 환경, 생활 습관, 그리고 조용한 염증까지…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입니다.

그러니 암을 막기 위한 첫 걸음은 내 몸의 내부 시스템을 이해하고, 지켜주는 것입니다.

암 예방을 위해서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하지말란 것 부터 하지 말아보세요.
당장이요~

 


Reference

  1. Vivier, E., Tomasello, E., Baratin, M., Walzer, T., & Ugolini, S. (2008). Functions of natural killer cells. Nature Immunology, 9(5), 503-510.
  2. Lanier, L. L. (2005). NK cell recognition. Annual Review of Immunology, 23, 225-274. 
  3. Assay Genie Korea. (2023). Natural Killer Cells: A Guide. 
  4. NKMAX. (2022). NK세포 소개 및 기전 설명 자료. 
  5. 차바이오그룹. (2021). NK세포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