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ar_t 세포치료 #세포치료 #암면역치료 #면역치료 #생명공학 #유전자치료 #재생의학 #혈액학 #종양학 #의학연구
- #암예방 #면역감시시스템 #nk세포 #pdl1 #유전자변이 #염증과암 #면역항암 #유전체분석 #건강정보 #30대여성건강
- 신경 가소성 #
- 아이 교육 방법
- 아이 잠재력
- 마이크로소프트계정 #
- 아이 두뇌개발
- 뇌 에너지 대사
- 숙취
- 진통제 정보
- 진통제 부작용
- 숙취해소제 분석
- 미토콘드리아 뇌지도
- 약물 부작용
- 독감 예방 #요즘유행하는 독감
- 숙취해소제 비교
- 소아독감 #
- 아이 머리
- 윈도우 11 인증
- 미토콘드리아맵
- 잠재력 교육
- 의약품 사용
- 미토콘드리아 지도
- crispr #유전자편집 #생명공학 #과학기술 #바이오테크 #유전자가위 #의학혁신 #특허분쟁 #과학콘텐츠 #툴젠
- 윈도우 정품 인증키
- 소염진통제
- 윈도우11정품키 #
- 독감 검사 #
- 운동 후 회복 #콜드플런지 #온수목욕 #대조요법 #피로회복방법 #근육통완화 #숙면팁 #수면회복요법
- 신경 가소성 활용
- Today
- Total
그대가 알고 싶은 이야기
유전자 편집, 신이 된 과학자들… 그리고 그들을 가른 법정 본문

과학이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려 할 때, 그 길목을 가로막는 건 기술력의 부족이 아닙니다. 때로는 ‘누가 먼저 발견했는가’, ‘누가 먼저 특허를 냈는가’—이 복잡한 이해관계가 혁신의 발목을 잡곤 하죠.
자, 오늘 우리가 함께 들여다볼 이야기는 바로 그 첨예한 과학과 소유권의 충돌, 유전자 편집 기술 CRISPR-Cas9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유전 질환 치료, 암 정복, 식량 혁명까지 가능케 하는 이 놀라운 기술 뒤에는 UC 버클리, 브로드 연구소, 그리고 한국의 툴젠까지… 세계 유수의 기관들이 얽히고설킨 특허 전쟁이 존재합니다.
과연 이 혁신적인 기술은 누구의 것일까요? 그리고 이런 특허 분쟁은 앞으로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이 글에서는 CRISPR의 원리부터 시작해, 특허를 둘러싼 치열한 싸움, 그리고 기술을 둘러싼 과학자와 기업들의 이해관계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드립니다.
지금부터 함께, 과학의 진보와 돈의 논리가 맞붙는 최전선을 들여다봅시다.
1. 가위로 유전자를 편집한다고요? 진짜로요?
여러분. 혹시 "유전자를 편집한다"는 말 들어보신 적 있나요?
처음 들으면, 영화 '쥬라기 공원'이나 '엑스맨' 생각나시죠? 유전자를 고친다니 뭔가 좀 무섭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고.
근데 말입니다, 이게 상상 속 이야기만은 아니에요. 지금 이 순간에도 연구실에서 진짜로 사람의 DNA를 정밀하게 자르고 붙이는 기술,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게 바로 CRISPR-Cas9, 일명 유전자 가위 기술이죠.
이 기술이 왜 중요하냐고요?
희귀 유전병, 암, 심지어는 농작물 개량, 장기 이식까지—미래의 의료와 생명공학을 통째로 뒤바꿀 수 있는 기술이거든요. 이거 하나면 세상을 바꿀 수 있어요.
그런데 문제는요, 이 CRISPR 기술을 두고 지금 전 세계 과학자들과 기업들이 법정에서 싸우고 있다는 점입니다.
누가 먼저 만들었느냐, 누가 특허를 가져가느냐—이 싸움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거든요.
오늘은 이 기술이 뭔지, 왜 이렇게 난리인지, 그리고 우리한테 왜 중요한지를 재밌게 풀어드릴게요.
2. CRISPR-Cas9, 쉽게 말해 뭐냐면요…
CRISPR, 무지하게 어려워 보이죠? 근데 원리는 생각보다 단순해요.
원래 이 시스템은 세균이 바이러스한테 당하지 않으려고 만든 방어 무기였어요.
세균이 ‘어, 너 저번에 나 공격했던 바이러스잖아!’ 하고 기억해놨다가, 다시 침입하면 딱 잘라내 버리는 거죠.
자, 사람은 이걸 어떻게 썼느냐?
- 먼저 gRNA(가이드 RNA)라는 친구가 있어요. 얘가 “자! 이 DNA 여기 자르세요!” 하고 안내를 해줍니다.
- 그다음 Cas9 단백질이 등장해서, 아주 정밀하게 DNA를 싹둑 자릅니다. 가위처럼요.
그럼 어떻게 되죠?
그 잘라낸 자리에 새로운 유전자를 끼워넣거나, 문제가 되는 유전자를 없앨 수 있어요.
이제 진짜 유전병도 고칠 수 있는 시대가 온 겁니다.

3. 어디에 쓰냐고요? 별 데 다 씁니다
이 기술, 그냥 실험실 장난감 아닙니다. 벌써 엄청나게 많은 분야에 들어가 있어요.
🩺 의학에서는요,
- 유전 질환 치료: 낫형적혈구빈혈이나 근위축증 같은 병을 유전자 레벨에서 고칩니다.
- 암 치료: 암세포만 골라내서 딱! 편집하는 방법도 연구 중이에요.
🌾 농업 쪽은요,
- 병충해에 강한 벼, 더 단단한 토마토, 영양가 많은 곡물—이미 실전 투입 중입니다.
- GMO처럼 외부 유전자를 집어넣는 게 아니라, 자연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변이를 ‘빠르게’ 만드는 방식이라 소비자 거부감도 적어요.
🧪 생명공학?
- 인간에게 이식할 장기를 키우기 위한 돼지 유전자 조작 연구
- 뇌 질환 연구용 동물 모델 만들기 등…
말 그대로 과학계 전 분야에 침투 중입니다.
4. 근데 왜 다퉈요?
이렇게 대단한 기술이니까, 당연히 먼저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겠죠.
CRISPR의 첫 발견과 개발을 놓고 UC 버클리 팀과 브로드 연구소 팀이 아주 뜨겁게 붙었어요.
- UC 버클리: 제니퍼 다우드나 &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 이 기술을 처음 논문으로 발표한 분들이에요.
- 브로드 연구소: MIT와 하버드가 만든 연구소죠. 여기의 펑 장 박사님이 ‘사람 세포’에 적용한 첫 사례를 만들어냈습니다.
누가 먼저 생각했느냐 vs. 누가 먼저 실현했느냐… 그 차이로 미국 특허청은 브로드 쪽 손을 들어줬어요.
"이건 그냥 발견이 아니라, 실용적 적용이 중요하다!"는 논리였죠.
이게 바로 특허의 세계예요. 논문 빨리 낸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어디에 썼느냐”가 핵심입니다.

5. 한국 기업 툴젠도 한자리 하고 있답니다
아, 이건 좀 자랑해도 돼요.
우리나라의 툴젠(ToolGen)이라는 바이오 기업도 CRISPR 원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요!
심지어 일본과 중국에서도 UC 버클리 팀(CVC 그룹)과 특허 다툼을 벌이고 있습니다.
툴젠이 승리하면요?
아시아 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기술 사용료도 받고, 영향력도 쭉쭉 뻗을 수 있어요.
바이오 강국 대한민국, 괜히 나온 말 아닙니다.

6. 이 싸움의 핵심, 뭘까요?
여기서 정리 한 번 해보죠.
📌 선발명주의 vs. 선출원주의
- 옛날 미국은 "누가 먼저 만들었냐?"였지만, 지금은 "누가 먼저 특허를 냈냐?"가 기준이에요.
📌 적용 범위 문제
- 세균에서만 되느냐, 사람에게도 적용되느냐. 기술 범위가 어디까지냐에 따라 특허 인정 여부가 달라집니다.
📌 국가별 법 차이
- 미국, 유럽, 아시아는 특허 기준이 다 달라요. 그러니까 전 세계적으로 법정 싸움이 계속되고 있는 겁니다.

7. 싸움이 길어지면 누가 손해일까요?
여러분, 이런 분쟁이 길어지면 누가 가장 손해일까요?
과학자도, 기업도 아닙니다. 바로 환자와 소비자예요.
기술이 나와도 실제로 사용하려면 특허 때문에 비용이 올라가고, 사용 허가가 늦어지고… 결과적으로 치료가 ‘상용화’되기까지 시간이 엄청 걸립니다.
그래서 요즘은 서로서로 기술 공유, 공동 특허, 합의 이런 걸 통해 윈윈하려는 움직임이 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게 더 건강한 방향이라고 봅니다.

8. 모두의 것일까, 소유의 대상일까?
자, 여기까지 따라오셨군요. 대단하십니다.
정리하자면,
CRISPR는 단순한 과학이 아닙니다. 그건 권력이고, 산업이고, 미래입니다.
이 기술을 누가 어떻게 소유할지에 따라, 전 세계의 의료, 식량, 생명윤리가 달라질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이 논쟁을 그냥 ‘남의 일’로 보면 안 됩니다.
이런 기술은 인류 전체의 자산이어야 할까요? 아니면 개발자가 소유할 권리가 있을까요?

'학술적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 AI가 키워도 될까요? (2) | 2025.04.08 |
---|---|
운동 후, 차가운 물 목욕 vs. 따뜻한 물 목욕 (1) | 2025.04.07 |
아이의 두뇌 잠재력을 깨우는 신경 가소성 활용,부모를 위한 실천 가이드 (0) | 2025.04.04 |
B형 독감 & 후두염 완벽 가이드! 우리 아이를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0) | 2025.04.03 |
미토콘드리아 지도로 밝혀낸 뇌 에너지맵 (0) | 2025.04.02 |